‘해검‑X’ 등장, 글로벌 해무인 시장 충격
한국이 MADEX 2025에서 공개한 최신형 무인수상정 ‘해검‑X’는
전 세계 해상 전투 드론 기술 협소화 속에서 단연 눈길을 끌었다.
LIG넥스원이 HD현대중공업과 공동 개발한 이 플랫폼은
스텔스 설계와 자체 무장 및 센서 모듈을 탑재하며,
‘해상용 전투 드론’의 개념을 실전 수준으로 격상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스텔스 구조·다중 작전 모드
해검‑X는 최소 레이더 단면 설계를 적용한 저피탐형 외형을 갖추고 있으며,
AESA 다기능레이다와 전자광학/전자전 장비를 통합함으로써
정찰, 전투, 대잠, 대드론, 레이다 교란 등 다양한 작전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단일 플랫폼에서도 ‘정찰→타격→정보수집’의 임무 순환이 자율적으로 가능해졌다.
무장 모듈화 – 20mm Rcws부터 어뢰, 드론까지
플랫폼에는 20mm 원격조종 무장체계(RCWS)가 탑재됐으며,
2.75인치 유도로켓 ‘비궁’, 경어뢰(블루 샤크), 공격용 드론 등
다양한 무장 옵션을 필요한 임무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
무장 모듈은 현장에서 교체·재구성할 수 있어,
기대치 변경이나 작전 전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전장 적응력 높은 속도와 기동성
모듈과 무장을 탑재해도
높은 속도와 유연한 기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으며,
해상 상태 4에서도 안정적 항행과 작전 수행이 가능해졌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복잡한 해양 환경에서도 위협 대응에 강한 플랫폼으로서 강점을 지닌다.
비무장·자폭·정찰용 해검 시리즈
해검‑X 외에도 LIG넥스원은
정찰용 해검‑2,‑3,‑5부터 3D 프린팅 자폭 USV까지 풀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해검‑3은 12.7mm 기관총과 유도로켓을 장착하며 전투 기능이 있으며,
해검‑5는 함정 탑재형으로 분리 후 임무 수행이 가능한 구조다.
기뢰 탐색, 정찰, 해상 경계, 공격 등 다중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무인 연계 체계를 형성했다.
무인 전력 통합 플랫폼 ‘Navy Sea GHOST’ 구현
국방부와 해군은 ‘Navy Sea GHOST’ 로드맵 하에
유인함정, USV, UUV, UAV 등이 통합 작전을 수행하는 개념을 추진하고 있다.
해검‑X는 이 계획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원격 통제→반자율→자율화 단계로 진화하며 2040년대에는 전체 함정의 절반 이상이 무인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글로벌 화력 대비 및 경쟁력
해검‑X 플랫폼의 스텔스·무장 모듈화·스웜 호환성은
글로벌 USV 시장에서 ‘대형 전투 드론’으로서의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특히 20mm RCWS, 유도로켓, 블루샤크 어뢰, 드론 연계는
서방·중국·이란 등 경쟁 플랫폼과 차별화된 통합 화력 체계를 보여준다.
미래 전장의 판을 바꾸는 잠재력
해상 전투 드론은
유인 함정 없이 적 주요 지점 타격, 지뢰 제거, 수중 정찰 등
다층적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가격 면에서 저비용·고효율 무인자산으로서
함정 손실·인명 사고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이 핵심이며,
향후 분산해상작전(DMO)의 핵심 자산이 될 전망이다.
방산 외교와 수출 교두보가 되다
LIG넥스원과 HD현대는 해검‑X를 비롯한 USV 기술력을 통해
방산 수출용 플랫폼 경쟁에 뛰어들었다.
중동, 동남아, 유럽 등 다양한 시장에
정찰용·전투형 USV 라인업을 기반으로 수출 협의가 진행 중이다.
이는 단순 무기 판매를 넘어
유·무인 복합전력 구축 협력의 시작이라는 의미가 있다.
맺음말: 바다 위 무인전 시대의 선두주자
한국의 해검‑X는 단순 USV를 넘어
스텔스, 스웜, 모듈화, 자율운용이 결합된
‘해상 전투드론’ 시대의 선두주자로 떠오르고 있다.
해결 과제는 운용 네트워크, 대응 규칙, 적응 훈련 등 현실화 요소지만,
이미 이 플랫폼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미래 무기다.
K-해검이 만들어낼 해전의 모습은 이제 과거의 해상 전투와 다를 것이다.